• 고양누리길 코스안내
  • 고양서삼릉누리길

고양서삼릉누리길

배다리술박물관

소재지 : 경기 덕양구 성사1동 470-1번지(수역이길 120-24) / 문의 : 031-967-8052 / http://www.baedari.co.kr

배다리 박물관은 고양시에서 4대째 술도가를 이어온 양조업에 대 한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10여년부터 준비해 완공한 곳이다. 우리 전통 술의 맥 을 이어가고 그 소중한 역사를 보존·계승시키기 위해 설립하였다.. 수천 년 동안 우리민족의 애환과 함께 하며 고달픈 삶에 활력을 불어넣은 우리 전 통 술의 역사를 한 자리에 모으기란 쉽지 않았을 것이다. 4대째 소장해 온 전통 술 관련 각종기구와 도구는 물론 그 제조 과정을 일목요연하 게 전시·연출해 놓은 '배다리 술 박물관'을 통해 우리 전통 술의 참모습을 후세에 알 리고 싶은 소망으로 건립되었다고 한다.

관람시간 10:00-18:00(매주 월요일 휴무)

전시장설명 제 1 전시장은 술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기획을 해 놓 았다. 조선중기에 탁주, 약주(청주), 소주를 빚을 때 쓰였던 도구(누룩틀, 소주 고리, 종국상자, 술 시루, 쳇다리, 체, 용수, 약주 틀, 나무 깔대기, 동댕이 외 다수) 와 통일신라시대, 고려, 조선시대를 걸친 술 저장용으로 쓰였던 각종 술독, 술항아 리, 술통 등을 전시하여 양조기술의 발달상을 보여주고 있다. ‘술’ 재료(쌀, 전분) 준비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누룩딛기, 발효하기와 밑술 만들기, 용수박기, 탁 주와 약주 거르기, 수주 내리기, 술 담기와 보관 ,그리고 술 배달 과정을 섬세하고 구체적인 인물묘사와 동작을 재현하므로 교육적이고 흥미롭게 연출하였다 또한, 故박정희 대통령이 막걸리를 즐겨마시던 ‘삼송리-주막집을 재현해, 그 당시 박정희 대통령과 김현옥 당시 서울시장의 모습을 밀랍인형으로 보여 주고 있다.

고양어울림누리, 기건선생묘 및 신도비, 기응세선생묘, 기준선생묘, 덕양산(德陽山), 성사체육공원, 익령군 이치 묘소, 증권 박물관

수역이마을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성사동

원당역에서 서삼릉방향으로 가는 수역이마을은 토속음식촌으로 유명하다. 매운 주꾸미볶음촌이 형성되어 주말이 되면 많은 고양시민들이 수역이마을을 찾는다. 저렴한 가격에 건강에 좋은 음식을 푸짐하게 즐길 수 있다.
유명 먹거리로 황태구이, 주꾸미, 두부정식 등이 있다.

서삼릉(西三陵)

사적 제200호 / 소재지 : 경기도 덕양구 원당동 산37-1 (서삼릉길 233-126) / 문의 : 031-962-6009

서삼릉이란 고양시 원당동에 소재한 孝陵, 禧陵, 睿陵을 아울러 일컫는 말이다. 총 면적은 약 7만여 평이며 중종의 계비인 章敬王后 尹氏의 희릉자리로 택해지면서 처음 능자리로 사용되었다. 본래는 130여만여평에 이르는 광대한 면적을 차지하였으나 지금은 여러 곳으로 분할되어 약 7만여 평이 남았으며 이 중 절반가량이 비공개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곳에는 3기의 능 이외에도 태실, 공주·옹주묘, 소경원, 효창원 등이 있다.

이용시간 3~10월 06:00~18:30 11~2월 06:30~17:30 (매주 월요일 휴무)

입장료 19 ~ 64세 1,000원, 7 ~ 18세 500원

상세정보 서삼릉 중종의 계비 장경왕후 윤씨의 희릉을 조성하면서 서삼릉의 역사가 시작됨. 중종의 정릉이 조성되었으나 서울 삼성동 선릉 곁으로 옮겨갔고, 중종의 아들인 인종과 비 인성왕후 박씨의 효릉, 철종과 비 철인왕후 김씨의 예릉이 있다. 그밖에 소경원·의령원·효창원 등 세자의 園 3기와 폐비 윤씨의 회묘를 비롯한 45기의 묘가 조성되어 있다.

희릉 11대 중종의 계비 장경왕후 윤씨(1491~1515,25)의 단릉이다. 영돈녕부사 윤여필의 딸로 8세 때 어머니를 여의고 월산대군의 부인 박씨에 의하여 양육되었다. 중종반정으로 단경왕후 신씨가 폐위되자 왕비에 책봉되었다. 1515년 인종을 낳고 산후병을 얻어 7일 만에 사망하였다. 능은 원래 헌릉(서울 서초동)에 있었으나 22년 뒤 김안로의 술책(정광필, 남곤 등이 조성한 묘자리에 큰 돌이 깔려있어서 좋지 않다는) 때문에 지금의 자리로 이장했다.

효릉 12대 인종(1515~1545,31)과 인성왕후 박씨(1514~1577,64)의 쌍릉이다. 인종은 효성이 지극하여 어머니인 장경왕후가 죽자 대왕대비인 정현왕후 윤씨(제9대 성종의 계비)를 더욱 섬겼으며, 아버지인 중종이 위독하자 반드시 먼저 약의 맛을 보고, 겨울철인데도 목욕하고 분향하며 한데 서서 저녁부터 새벽까지 하늘에 빌 정도 였다. 중종이 죽자 8개월만에 승하하였는데 부모의 곁에 묻어줄 것과 장사를 소박하게 해달라고 부탁하였다. 그래서일까 그의 능은 원래 병풍석이 없다가 인성왕후가 승하한 후 인종 곁에 묻히면서 현재 왕릉에서 볼 수 있는 병풍석을 둘렀다고 한다.

예릉 125대 철종(1831~1863,33)과 철인왕후 김씨(1837~1878,42)의 쌍릉이다. ‘강화도령’으로 널리 알려진 철종은 강화도에 살던 중 1848년 24대 헌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당시 영조의 유일한 혈손이었기 때문이다. 철종의 조부인 은언군은 그 아들 상계군 담이 반역을 꾀했다고 하여 1786년 강화도에 유배되었다. 1801년에는 천주교인이라 하여 은언군의 처 송씨와 며느리 신씨도 사사되었다. 게다가 철종의 형 원경은 모반을 꾸미다 발각되어 사사되었으니 철종 주위 사람들은 대부분 죽어나간 것이다. 그렇게 왕이 된 철종은 힘든 생활을 이어가다가 재위 14년에 사망한다.
예릉은 이러한 철종과 철인왕후의 쌍능으로 조선왕조의 상설제도를 따른 마지막 능이다.

KRA경마교육원(원당종마목장), 고려공양왕릉, 서삼릉표고버섯, 뉴코리아C.C., 원당허브마을, 월산대군 묘 및 신도비, 월산대군사당, 쥐눈이콩마을, 플랜테이션, 하우스프레관광농원

KRA경마교육원(원당종마목장)

소재지 : 경기도 덕양구 서삼릉길 42 (원당동 201-79) / 문의 : 02-509-1682~4 / http://company.kra.co.kr

서삼릉 능역이었던 이곳에 종마목장이 들어선 것은 20년전. 88올림픽을 앞두고 장애물 경주 경기장으 로 건설했다가 뒤에 종마의 사육번식과 교배기술 지원을 목적으로 한 종마목장으로 탈바꿈했다. 호젓한 분위기와 멋진 풍경 때문에 숱한 드라마가 이곳에서 촬영됐다. KBS의 ‘야망의 전설’ ‘질주’는 아예 목장 전체를 세트로 쓰기도 했다. 정문을 지나면서부터 드넓게 펼쳐지는 초원은 한눈에 담기지 않을 만큼 규모가 크다. 하얀 페인트 칠을 한 울타리가 푸른 잔디, 낮은 언덕과 조화를 이뤄 유럽의 목장에 와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 정문에서 목장을 따라 관리사무소로 가는 진입로 양쪽에 늘어선 은행나무가 간간이 그늘을 만들어 준다.

개방일 수요일~일요일(마사회 휴일(월, 화) 및 공휴일, 명절 연휴는 개방하지 않습니다.)

개방시간 하절기 09:00~17:00, 동절기 09:00~16:30

입장료 무료

고려공양왕릉, 서삼릉(西三陵), 서삼릉표고버섯, 서오릉(西五陵), 원당허브마을, 쥐눈이콩마을, 하우스프레관광농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