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곡습지
소재지 : 경기도 일산동구 중산동 1715 (안곡초등학교 바로 뒤편) / 문의 : 031-967-8052 / http://www.baedari.co.kr
지역 주민들의 힘으로 만든 습지가 예쁘고 아름다운 생태공원. 메뚜기와 여치가 살고 다양한 수종이 분포하여 수생식물의 군락이 조성되어있다.
천연용출습지로 생태학습원, 야생초화원,수로습지원, 묵논학습원, 생태보존습지원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고봉산(高峰山)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산56-1일원 / 문의 : 031-8075-2714(녹지과)
해발 : 208.6m / 별칭 : 태미산
고양시 일산구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옛부터 태미산으로 알려져 있는 산이다. 이곳 고봉산은 높은 산봉우리 또는 봉화를 올린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일산 2동과 고봉동의 경계가 되며 멀리서 볼 때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은 모양을 하고 있다. 이 산은 꼭대기에 커다란 안테나가 있어 다른 산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모습이다. 삼국시대의 기록인 삼국사기에도 나오는 유명한 산으로 한강유역 일대를 두고 고구려, 백제, 신라가 치열한 접전을 벌인 군사, 교통, 전략상의 요충지였다. 이 산에서는 이를 증명하듯 곳곳에서 삼국시대의 토기편이 발견되고 있다.
고봉산에는 소나무, 느티나무, 참나무, 밤나무 등이 서식하고 있어 늘 시원한 그늘을 만들고 있으며 산기슭에는 만경사, 영천사의 작은 사찰과 함께 정지운 묘, 홍이상 묘와 같은 문화재도 자리하고 있다. 이곳 고봉산에서 보면 고양시는 물론 파주, 개성, 강화, 인천, 김포, 서울, 수원 등을 볼 수 있어 이 곳의 중요성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산에는 작은 바위들이 많은데 마당바위, 장사바위, 두꺼비바위, 붙임바위, 이무기바위, 벼락바위등이 대표적인 바위들이다.
1990년대 이후 대규모의 택지개발 사업이 이루어져 중산마을 일대의 산자락은 이미 아파트가 들어섰고 나머지 소개울 마을도 일부가 택지로 개발될 예정이다. 숲이 많지 않은 일산지역에 정발산, 황룡산, 견달산과 함께 일산구의 허파역할을 하는 소중한 산이다.
정상에는 고봉산 봉수대가 위치하고 있다.
옛 문헌에는 이곳에 고봉산성이 있어 봉수대가 설치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현재의 봉수대는 산 정상 봉우리를 중심으로 직사각형으로 돌 석축을 쌓은 상태로 남아 있다. 석축의 총 둘레는 약 120m에 달하며 높이는 약 5m에 이르고 있다. 고봉 봉수대는 주변의 자연돌을 쌓아 만든 봉수대로 특별히 무너진 곳 없이 비교적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프로그램
고봉산 해맞이 행사 : 매년 1월 1일 6시
계원군묘 및 신도비, 성석불한증나라, 이천우선생묘 및 신도비, 홍이상선생묘 및 신도비
황룡산
소재지 : 경기도 일산서구 일산동 산16 일원
위치 : 일산구 고봉동 및 탄현동. 파주시 교하면의 경계이며 탄현마을 뒤에 자리하고 있다.
해발 : 134.5m
이 산은 고양시와 파주시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옛부터 누런 용이 산다고하여 황룡산이라 부르고 있다.
산 정상에서는 멀리 북한땅도 볼 수 있는 고양시 최서북단의 산이다. 산 아래에 성석동 감내마을이 있는데 이곳에 용강서원도 자리하고 있다.
황룡산 기슭에는 문화재인 이천우선생 묘가 있고 산에는 참나무, 소나무, 아카시아나무가 많다. 탄현동 방향에는 대규모의 아파트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황룡산 아래로 일산과 봉일천을 연결하는 고봉로가 지나고 있어 쉽게 접근할 수 있으나 산 정상은 군시설로 인하여 오를 수 없다. 소나무숲 사이로 고봉산과 금정산으로 연결되는 산책로가 잘 만들어져 있다.
용강서원(龍江書院)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감내마을에 위치한 서원으로, 고려시대 명장 박서장군과 조선시대 태종대의 박순선생을 모셨고, 1980년에 중건 됐다.